반응형

안녕하세요 Hi Create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료형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자료형이 뭘까?

2. 종류는 뭐가 있을까?


[1. 자료형이 뭘까?]


파이썬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자료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변수에서 많이 쓰죠.


자료형이라는 것은 자료, 즉 정보(information)의 형태를 말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a라는 공간(3. 변수와 함수 참조)에 1을 저장했는데,

자료형은 이게 숫자인지 문자인지

숫자라면 정수인지 소수인지 등을 구분해주는 겁니다.



[2. 종류는 뭐가 있을까?]


그렇다면 종류는 뭐가 있을까요??

우선 숫자, 즉 수치형이 있습니다(Numbers)

여기에는 정수형, 실수형, 롱형, 복소수형, Demical 형식 등이 있습니다.


1. 정수형

수학시간에 숫자의 분류에 대해서 배운 적이 있을겁니다.

복소수에 허수와 실수

실수엔 무리수와 유리수,

유리수에 정수와 정수가 아닌 유리수가 있는데요


그 중 정수는 -2,-1,0,1,2,3,4,5,6 같은 숫자들입니다.

정수형은 이런 수들을 나타내는 형식입니다.


파이썬에서는 정수형에서 10진 상수 뿐만 아니라 2진수,8진수, 16진수 등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예문--

a=23

b=0o23

c=0x23

d=0b1

print (a)

print (b)

print (c)

print (d)


이렇게 입력하면 b에서는 8진 상수가,

c에서는 16진 상수가,

d에서는 2진 상수가 출력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다루겠습니다.


2. 실수형

실수는 소수가 있을 수도 있고 루트를 포함한 무리수도 있는 범위이죠.

수학에서는 흔히 수직선에 표현가능한 수들을 말합니다.

C에서는 흔히 double형식이라고 하죠.


우선 실수형은 소수점을 포함해야합니다.

혹은 지수를 포함할 수도 있죠

--예문--

a=1.2

b=3.6e3 #e는 지수 지수엔 실수가 올 수 없음


3. 롱형

Long형은 숫자에 L을 붙여 표현하는데 

주로 정수형으로 표현할 수 없는 큰 수를 나타냅니다

물론 정수형과 마찬가지로 8진수, 16진수 등으로 표현할 수 있죠.


4. 복소수

실수 + 허수를 나타냅니다.

허수부에 J를 붙여주어야 하구요


--예문--

a= 4+5J

b=10+6J

print(a-b) #-6-1j


a.real #실수부분만 가져옴

a.imag #허수부분만 가져옴


c=3

d=2

complex(c,d) #c가 실수부분 d가 허수부분


b.conjugate() #b의 켤레복소수


5. Demical

Demical은 자료형이라기 보다도 하나의 모듈이다. 

부동 소수점, 즉 실수형으로 큰 계산을 하면 오차가 발생하기에

Demical을 사용하는 것이다.


Demical('0.1') 의 형식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계산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알아두는 정도)



이제 문자열이 있다.

문자열은 문자를 나타내주는 자료형이다.

C에서는 char 형식이라고 하고 파이썬에서도 char라고 한다.


--예문--

a= '1'

type(a) #class='str' 출력

print(a)


실행하면 알 수 있듯 자료형은 str, 문자열이지만

출력은 수치형과 똑같이 된다.


어쨌든 봤듯이 ""이나 '' 안에 있는 건 모두 문자열이다.


너무 길어서 다음 포스팅으로 넘기도록 할게요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반응형

BELATED ARTICL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