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 Create


안녕하세요 HiCreate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사전 객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사전 객체의 메쏘드 사전 객체도 다른 자료형과 마찬가지로 메쏘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쉘을 켜서 같이 해봅시다. 우선 위와 같이 member라는 사전 객체를 만들어봅시다. 그 다음 이 사전 객체의 key와 value를 분리해서 출력해볼게요 이번엔 key,value 리스트를 출력하고 특정 키를 가지고 있는지 검색해보겠습니다. key in 변수명 형식이 검색을 하는 것이고 있으면 True를, 없으면 False를 반환해줍니다. 그럼 이번엔 다른 변수에 값을 복사하고 원래 있던 변수의 값을 삭제해보겠습니다. copy() 는 사전복사라고 합니다. (혹은 얕은 복사라고도 하네요..) 다시 복구를 시..


안녕하세요 Hi Create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의 사전 객체에 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전 객체란 무엇일까? 이름만 보면 굉장히 생소합니다. 파이썬에서는 사전 객체를 리스트의 객체에 값을 부여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알파벳에 순서를 매겨 'A'를 1로 'B'를 2로 지정해두는 것이죠. 이 기능은 다양한 곳에서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던지 할 때 쓸 수 있겠죠. 사전 객체는 매핑(Mapping)형입니다. 이는 자료의 순서를 매길 수 없음을 의미하죠. 전에 포스팅했던 리스트, 튜플은 집합적이라는 것에서 사전 객체와 비슷하지만 시퀀스 자료형(Sequence), 즉 자료의 순서를 매길 수 있는 자료형이었죠. ( 시퀀스와 문자열, 리스트, 튜플 ) 사전 객체..


안녕하세요 HiCreate입니다!! 오늘은 신호등에서 벗어나서 DC모터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순서는 DC모터 소개 > 회로 구성 > 코딩 순서입니다. DC모터란, 선풍기처럼 돌아가는 어떤 물체(날개 등)을 돌려주는 물건입니다. 선풍기를 해체해보신 분들은 어떻게 생겼는지 아실겁니다. 끝이 드릴처럼 생겼죠. 아두이노에서는 주로 드론을 만들때 쓰곤 합니다. 물론, 모터 쉴드 등을 이용하면 화분에 자동으로 물을 주는 기계에도 사용할 수 있죠. 그럼 이제 회로를 만들어볼까요? 회로도를 보시면 좀 복잡해보이죠? N이 적힌 것은 트랜지스터입니다. 전류를 조절해주는 역할이죠. DC모터는 꽤 큰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잘못하면 우노보드가 과부하를 일으켜 타버릴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안녕하세요 HiCreate입니다!! 오늘은 객체의 복사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객체의 복사라는 것은 어떤 변수를 다른 변수 안에 다시 선언해버리는 건데요. 1 2 3 a = 1 b = a print(b) cs 이런 코드가 있으면 이런 방식으로 됩니다. 즉 a의 값이 곧 b의 값이 됩니다. a의 값이 변할 때마다 b의 값도 계속 변하는 거죠 이런 걸보고 copy라고 합니다. copy는 정수나 문자 뿐만아니라 리스트에서도 작동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 a = [1,2,3] >>> b = [a,4,5] >>> x = [a,b,6,7] >>> y = x >>> print(a) [1, 2, 3] >>> print(b) [[1, 2, 3], 4, 5] >>> print(x..


안녕하세요 HiCreate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버튼으로 신호등을 제어해볼거에요 구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차량용 신호등이 항상 초록색이다가 버튼을 누르면 노란색 > 빨간색으로 바뀌게 할겁니다. 이번 회로에서 처음쓰는 물건이 있네요 바로 버튼입니다. 이렇게 생겼는데요 버튼은 우리가 잘 알고있듯이 누르거나 눌렀다가 떼면 어떤 작동을 합니다. 무엇보다 digital 값을 받기때문에 0 아니면 1입니다. 위의 사진이 회로도 입니다. 특이한게 있죠? LED와는 다르게 버튼은 저항이 있는 쪽에 GND를 꽂아두었네요 딱히 상관은 없지만 버튼이 눌렀을 때 1이라는 걸 회로로 미리 입력해둔 거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위의 사진은 코드입니다. 아두이노 코딩을 할 때 핀 번호를 직접 핀모드에 넣어서 쓰시는 경우..

안녕하세요 Hi Create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아두이노로 신호등을 제어해볼겁니다. 왜 굳이 신호등이냐?가장 일반적인 예시이기 때문인데요.학교에서나 예제나 많은 곳에서 신호등을 이용해서 다양한 예시들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 신호등은 여러가지 기능들을 넣을 수도 있고 가장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니까요. 그럼 시작해볼까요? [1. 회로 구성하기] 신호등을 만들려면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LED가 필요합니다.이 세가지 만으로도 이미 자동차용 신호등이 완성되었네요. GND에 이 세개 (혹은 더 많은)의 점퍼선을 꽂으려면 한 곳으로 모아줘야 하는데요이때 사용하는 곳이 가장자리에 있는 - 부분입니다. [2. 코드 작성하기] 회로를 완성했다면 코드를 작성해야겠죠. 신호등의 순서를 생각해..

안녕하세요 Hi Create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두이노에서 LED를 제어하는 것을 알려드릴게요. 1. LED 제어하기 [1. LED 제어하기] 사용된 부품은 브레드보드, LED 1개, 저항 1개, 점퍼 선 2개 입니다. 먼저 LED와 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연결해봅시다. 브레드 보드는 출처 : 메카솔루션 이렇게 생겼습니다. 여기에 부품들을 연결하고 우노 보드와 연결합니다. 점퍼 선은 출처 : Code Dragon 이렇게 생겼는데 끝이 뾰족한 선으로 된 쪽을 '수' 수를 넣을 수 있게 되어있는 쪽을 '암'이라고 합니다. 여기서는 양 쪽이 수로 된 케이블을 이용합니다. LED는 13번에 저항을 이용해 꽂아줍니다.이유는 LED의 정격전압보다 더 큰 전압이 들어갈 경우 LED가 터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흰..

안녕하세요 HiCreate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튜플에 대해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1. 튜플로 연산하기2. 튜플 사용하기3. 경로 다루기4. URL 사용하기 들어가기에 앞서 튜플을 사용하기 위한 규칙이 있습니다. 변수이름 = (자료1, 자료2) 형식으로 사용하거나변수이름 = 자료1, 자료2로 사용해야합니다.자료가 하나라도 있으면 콤마(,)를 써줘야 합니다. [1. 튜플로 연산하기] 앞의 포스팅들에서도 소개해드린 시퀀스 자료형의 연산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튜플은 자료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즉, 리스트처럼 t[0]=1 같은 걸 못한다는 거죠. 추가로 x,y = y,x 같은 방식으로 값을 바꿔버릴 수도 있습니다. [2. 튜플 사용하기] 튜플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자..

안녕하세요 HiCreate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택과 큐에 대해 알아볼거에요. 먼저 스택(Stack)이란 무엇일까요? '제한적으로 접근가능한 배열'입니다.'제한적'은요,한 곳에서만 배열에 접근하여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다는 거죠. 위의 그림을 보면 윗부분에만 구멍이 뚫려있죠? 이 부분은 값을 넣거나 뺄 수 있는 구멍입니다.각 부분에는 한 가지의 값만 들어있다고 하면 이렇게 될겁니다.1번은 당연히 맨 처음 넣은 데이터겠죠? 먼저 push(값을 넣음)를 하고, pop(값을 빼냄)을 실행한다면,7번 값을 넣고 다시 7번을 바로 빼내어 버린다는 거죠. 이게 스택입니다.LIFO(Last In First Out)이라는 방식이죠. 1234567s = [1,2,3,4,5,6,7] s.append(8) //마..